인공 감미료 들은 제로 음료 발암물질일까?
본문 바로가기
일상정보

인공 감미료 들은 제로 음료 발암물질일까?

by 진0 2023. 10. 20.
728x90
반응형

 

'제로 슈거' 키워드를 내세운 탄산음료가 출시된 이후 다이어트하는 사람뿐만 아니라 설탕을 염려하는 분들이

탄산음료를 선택할 때 제로 음료를 선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저도 마트에 가서 음료를 살 때 설탕이 들은 음료보다는 제로음료를 선택합니다.  

제로음료를 사면서도 한편으로는 인공 감미료가 괜찮은 것인지 의구심이 듭니다.

설탕이 없다는 것에 안심을 해야 할지 혹은 정말 인체에 해로운 물질일지 걱정을 해야 할지 고민이 됩니다.

 

그래서 오늘은 인공 감미료가 들은 제로 음료가 발암물질인지 확인해 보겠습니다.

 

콜라 이미지입니다.

 

 

 

제로 음료 속 설탕대체당 아스파탐이 무엇인가요?

 

아스파탐은 설탕 대비 200배 단맛을 내는 인공감미료이며 , 매우 소량으로도 설탕의 단맛을 냅니다.
설탕의 200분의 1 정도만 사용하면 되기 때문에, 많은 식품에 설탕 대용의 저칼로리 감미료로 쓰이고 있습니다.

특히, 다이어트 콜라와 같은 저가당 식품에 많이 쓰입니다.

 

 

 

아스파탐이 발암물질인가요?


현재 세계보건기구 (WTO) 산하 국제암연구소가
아스파탐을 발암 가능 물질 (2B군)로 지정한다는 방침이 전해졌습니다.
 

 

◎ 발암가능 물질(2B군) 무슨 의미일까요?

1군
(예- 다이옥신, 담배, 석면, 가공육 등)
인체 발암성 있음 인체 및 동물실험을 통해
암을 유발할 수 있다는 증거가 충분
2군
(예- 질소, 머스터드, 붉은 고기 등)
인체 발암성 추정 물질 인체자료는 제한적,
동물실험 근거 자료는 충분한 경우
2B군
(예-커피, 김치, 오이피클 등)
인체 발암 가능 물질 인체자료가 제한적,
동물실험자료도 충분하지 않은 경우


2B군에 해당되는 음식에는 김치, 피클 등 절임 채소가 있습니다.

아스파탐 또한 이 2B군에 속합니다.

2B군의 특징을 보면 인체 자료가 제한적이며 동물실험자료조차도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 속합니다.

 

결론 : 아직 아스파탐 발암물질에 대한 자료는 충분하지 않다.


우리가 인지하는 위험성보다 낮은 편이나

 

사람마다 자료가 충분치 않으니 밝혀지지 않은 잠재적 위험성을 생각하여 적당히 조절해서 마시라는 의견이 있기도 하며

 

한편으로는 현재까지 밝혀진 1일 섭취허용량 (ADI) 초과해서 먹을 일은 절대 없으니 먹고 싶은 대로 먹어도 괜찮다는 의견이 있습니다.

 

( * 참고로 60kg 성인 남성기준 제로 콜라를 34캔이상 마셔야 섭취 권고량을 넘는 수준이라고 합니다.)

 

 

 

아스파탐 섭취 시 주의해야 할 사람


  


아스파탐의 주요 성분은 필수 아미노산인 페닐알라닌과 비필수 아미노산인 아스파라긴산 및 메탄올로 구성되어 있다고 합니다.
 
페닐케툔뇨증을 앓고 있는 환자들은 페닐알라닌 분해효소가 없어 먹어서는 안 되며 메탄올의 경우 체내에서 신경독성물질인 포름알데히드로 분해되어 발암물질로 작용한다고 합니다.
 

임산부가 아스파탐을 섭취하게 되면 체내 페닐알라닌의 축적으로 페닐케톤뇨증을 가진 아이가 태어날 가능성이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고 합니다.
 

 

인공 감미료가 들은 제로 음료가 발암물질인지에 대해서 확인해 보았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