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편]나는 왜 무슨 일이 생기면 타인보다 더 힘들어할까?
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1편]나는 왜 무슨 일이 생기면 타인보다 더 힘들어할까?

by 진0 2024. 9. 30.
728x90
반응형

 

1.나는 왜 무슨 일이 생기면 타인보다 더 힘들어할까?

 

30년 인생을 살면서 크고 작은 일들이 많이 생겼습니다.

 

보통 타인이 느끼는 별 일이 아닌 일들은 저에게는 큰일로 다가왔습니다.

 

예를 들면 정말 작은 실수여서 타인은 신경도 안 쓰는 일인데 저는 하루이상을 안절부절못했습니다.

 

마음의 회복이 너무 더디었던 것이죠.

 

이미 벌어진 일들인데 그 이후에 것을 생각해야 하는데 혼자 자책하고 후회하였습니다.

 

그럴 때마다 저는 왜 그럴까 곰곰이 생각해 보았으나 내가 그냥 예민한 사람이구나 생각했으며 딱히 해결책은 없었습니다.

 

그러다 보니 무슨 일이 생길 때 항상 타인에게 말하고 다니며 좀 징징대고 시간이 정말 많이 지나야 좀 무뎌지는 기분이었습니다. 다들 잊고 사는 실수들인데 제가 한 실수에 대해서는 잊히는 일은 없었습니다. 

잊히지 않아서 곱씹고 또 힘들어하고 무한 반복이었습니다.

 

시간이 지나서 다시 생각해 보니 알 수 있었습니다.

 

대학교를 다니던 시절에 심리학 강의를 들었었는데 그 수업이 떠올랐습니다.

 

바로 회복 탄력성이 다른 사람들 보다 훨씬 낮았던 것입니다.

 

 

2. 회복 탄력성이란?

 

어려움이나 스트레스에 직면했을 때 이를 극복하고 다시 원래 상태로 돌아가거나 더 강해지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개인, 집단, 조직 등 다양한 수준에서 적용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은 주요 요소들이 포함됩니다

 

1. **정신적 강인함**: 어려운 상황에서도 긍정적인 태도를 유지하고 문제를 해결하려는 의지를 갖는 것.

2. **사회적 지원**: 친구, 가족, 동료와의 관계가 회복탄력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함.

3. **문제 해결 능력**: 상황을 분석하고 적절한 대안을 찾아내는 능력.

4. **적응력**: 변화하는 환경에 유연하게 대응하고 적응하는 능력.

5. **자기 인식**: 자신의 감정과 행동을 이해하고 조절하는 능력. 

 

 

3. 회복 탄력성 검사방법은?

 

간단하게 검사 가능합니다.

https://www.ust.ac.kr/kor/sub05_03_02_02.do

 

회복탄력성 검사 >심리검사 >학생상담 >생활 >

심리검사학생상담생활UST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www.ust.ac.kr

 

여기서 확인 가능합니다.

 

 

4. 회복 탄력성 검사 해석하기

 

검사하신 분들은 이렇게 간단하게 나오셨을 겁니다~!

 

저의 결과는 이렇습니다. 한국인 평균이 195점이라는 것을 볼 때 저는 현저히 낮습니다.

모든 영역에서 반드시 노력 필요가 뜨네요.

 

<1> 자기 조절 능력 = 감정조절력 + 충동통제력 + 원인분석력

*  우리나라 성인의 자기 조절능력 평균 점수는 63.5점

-70점 이상 = 자기 조절능력에는 별 문제가 없다고 보며,

-75점 이상이라면 아주 높은 편(상위 7% 이내)이니 자부심을 가져도 좋음

-63점 이하 = 자기 조절능력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좋음

-55점 이하 = 자기조절능력을 향상하기 위해 반드시 노력해야 함 (하위 20%에 해당)

 

 

<2> 대인관계능력 = 소통능력 + 공감능력 + 자아확장력

 

* 우리나라 성인의 대인관계능력 평균 점수는 67.8점

 

- 80점 이상 = 대인관계와 사회성이 아주 뛰어난 편(상위 6% 이내)

- 74점 이상 = 당신의 대인관계능력에는 별 문제가 없다고 봐도 좋음

- 67점 이하 = 대인관계능력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좋음

- 62점 이하 = 대인관계 능력을 높이기 위해 반드시 노력해야 함(하위 20% 해당)

 

 

<3> 긍정성= 자아낙관성 + 생활만족도 + 감사하기

 

*  우리나라 성인의 긍정성 평균 점수는 63.4점

 

- 75점 이상 = 대단히 긍정성이 높은 사람(상위 6% 이내)

- 70점 이상 = 긍정성에는 별문제가 없다고 봐도 좋음

- 63점 이하 = 긍정성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좋음

- 56점 이하 = 긍정성을 높이기 위해 반드시 노력해야 함(하위 20%에 해당) 

 

4> 회복탄력성 (총합) = 자기 조절능력 + 대인관계능력 + 긍정성

 우리나라 성인 회복탄력성 평균 점수 = 195점

-220점 이상 회복탄력성이 대단히 높은 편. 웬만큼 불행한 사건은 당신을 흔들어놓지 못한다. 오히려 역경은 당신을 더 높은 곳으로 올려놓기 위한 일로 생각하고 즐겁게 받아들일 것임.

-212점 이상 회복탄력성이 높은 편. 상위 20%에 속한다.

-200점 이상 회복 탄력성이 높은 편. 안심해도 좋다.

-200점 미만 회복탄력성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좋다.

-180점 이하 자그마한 부정적인 사건에도 쉽게 영향받는 나약한 존재. 돼 튀어 오를 힘을 기르는 것이 좋다.

-170점 이하 당신은 깨지기 쉬운 유리 같은 존재라 할 수 있다. 크고 작은 자그마한 불행에도 쉽게 상처를 입게 되며 그 상처는 쉽게 치유되지 않을 것! 하루하루를 살얼음 위를 걷는 기분으로 살아온 당신은 지금 당장 회복탄력성을 높이기 위해 온 힘을 기울여야 한다

728x90
반응형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2편] 회복탄력성 높이는 방법은?  (1) 2024.11.27